Surprise Me!

[뉴스프리즘] 낯선 코로나 연말…도심은 '썰렁'

2020-12-06 0 Dailymotion

[뉴스프리즘] 낯선 코로나 연말…도심은 '썰렁'<br /><br />예년 같으면 흥겨운 캐럴에 송년회로 들썩였을 도심 번화가.<br /><br />하지만 올해는 가게마다 손님 찾아보기가 쉽지 않은데요.<br /><br />이번주 프리즘에선 초유의 코로나 연말을 맞게 된 도심의 풍경과 그 속에서도 생존 전략을 찾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이들의 모습을 담아봤습니다.<br /><br />▶ 송년회 줄줄이 취소…"아쉽지만 거리두기 먼저"<br /><br />연말마다 도심을 밝히던 등불이 모두 사라졌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예방을 위해 축제를 분산 개최하기로 하면서 발 디딜 틈 없었던 모습은 찾아볼 수 없게 됐습니다.<br /><br /> "원래 12월 되면 환해지고 불빛들도 많이 나고 그랬는데 연말 분위기가 많이 안 나는 거 같아서 조금 아쉬웠어요."<br /><br />거리 위 상인들에겐 '연말 특수'도 예외가 됐습니다.<br /><br /> "크리스마스 종 칠 때 그나마 그래도 인건비라도 가져가고 하는데 지금 그마저 사라지니까… 마음이 마음이 아닙니다."<br /><br />안심할 수 없는 코로나 상황은 연말 풍경도 바꿔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많은 시민들은 연말 모임 취소나 연기를 고민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코로나 위험할 수 있으니까 그리고 주변에도 피해 안 가게 하려고… 다들 아쉬워한다기보다는 '빨리 이것만 지나가자'라고 생각하고 있어요."<br /><br />대신 온라인으로 모이는 이른바 '랜선 송년회'로 눈을 돌리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오늘 진행을 맡게 된 유성이라고 합니다. 반갑습니다. 안녕하세요!"<br /><br />컴퓨터 화면 앞에서 전문 MC가 다양한 게임과 이벤트로 분위기를 띄웁니다.<br /><br />적게는 5명부터 많게는 1천명까지 동시에 참여할 수 있다 보니 개인과 기업 할 것 없이 문의가 빗발칩니다.<br /><br /> "대체적으로 송년회예요. 지금도 계속 잡히고 있는 상태고요. 하루에 1~2개, 많으면 4~5개씩…"<br /><br />종무식을 비대면으로 추진하며 연말 모임 자제 분위기 형성에 앞장서는 기업들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온라인으로 송년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. 구성원들이 집에서 송년회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…"<br /><br />방역당국은 지금처럼 소규모 집단 감염이 계속되면 1~2주 뒤 하루 확진자가 1천명까지 나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연말, 나의 선택이 우리 모두를 위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수주입니다. (sooju@yna.co.kr)<br /><br />▶ 배달 주문 폭주…소비는 온라인이 대세<br /><br />서울 강남에 위치한 한 배달 업체 사무실.<br /><br />배달기사들의 휴대전화로 끊임없이 주문이 쏟아져 들어오고,<br /><br /> "접수 콜! 접수 콜! 접수 콜!"<br /><br />실시간으로 배달기사들의 위치를 관리하는 담당자도 덩달아 분주해집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사태로 늘어난 배달 주문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강화 후 더 폭증했고, 한 주 만에 배달 접수 건수는 10.2% 가까이 늘었습니다.<br /><br /> "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인해서 고객님들이 주문하는 건수도 많아지고…수치상은 10% 정도 늘었는데요. 체감상으로는 20~30% 늘어난 것으로 느껴지고요.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해서 콜 양이 많게 느껴져서…"<br /><br />배달이 주문 건수를 따라가지 못해 배달에 차질이 생기는 일이 빈번해지자, 업체들은 배달 기사 추가 모집 등을 통해 배달 대란 방어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유통업체들은 코로나 시대를 극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말 특수가 사실상 실종된 분위기지만 온라인에서의 파격 할인 행사 등을 통해 매출 회복에 힘을 써보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각 유통업체들은 온라인 쇼핑 플랫폼 확장에 적극 나서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특히 차별화한 콘텐츠가 담긴 자사몰을 중심으로 고객 모시기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주력 상품의 판로를 확대하는 동시에 다른 생활 품목으로까지 범위를 확장해 종합 전문 쇼핑몰로 도약하겠다는 복안입니다.<br /><br /> "실제로 저희 온라인몰 매출도 지난해보다 40%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. 배송혜택이라든지 할인쿠폰이라든지 이러한 실질적인 혜택을 확대하는 측면에서 온라인 몰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소비 행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각 업계도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. (hanji@yna.co.kr)<br /><br />▶ 빠듯한 예산…3차 재난지원금, 누구에게 얼마나<br /><br /> "2021년도 예산안에 대한 수정안은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."<br /><br />국회를 통과한 내년도 예산은 역대 최대인 558조원.<br /><br />이 중 3차 재난지원금 예산은 3조원입니다.<br /><br />전 국민에게 지급됐던 1차(14조 3천억원), 선별지급된 2차(7조 8천억원)에 비해 크게 줄어든 이번 재난지원금은, 코로나 3차 확산에 피해를 본 계층과 업종에 지급한다는 원칙만 있을 뿐 집행 계획은 미정입니다.<br /><br />일단 기준점은 지난번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입니다.<br /><br /> "직접적으로 피해를 보는 계층, 업종에 대해서 타겟팅해서 맞춤형으로 지원되기 때문에 지난번에 지원했던 사례가 상당히 참조가 되지 않을까 싶고요."<br /><br />지난번은 코로나 2차 확산으로 영업이 금지된 14개 업종에 200만원씩을 지급했는데, 이번에도 거리두기 2단계 상향으로 직격탄을 맞은 영업금지 업종 소상공인들에 비슷한 지원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뷔페나 학원, PC방 등 영업제한 업종들과 특수고용직 노동자도 지원을 받을 걸로 전망되는데 아동 특별돌봄비나, 이동통신비 지원은 예산이 줄어든 점을 고려해 사라질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이렇다 보니 앞으로 논의 과정에서 지급 대상을 둘러싼 논란이 또 한 번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1차 지원금은 소득 하위 70%에게 주기로 했다가 논란 끝에 전 국민에 지급했고, 2차 지원금 역시 당사자들 반발에 개인택시와 유흥주점을 막판에 추가했습니다<br /><br /> "지원금을 지급하는 데 있어서 보다 원칙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고요. 저소득층과 취약계층을 위주로 한 지원, 그리고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계층에 대한 지원...

Buy Now on CodeCanyon